유튜브 프리미엄 할인 카드 없이 싸게(6개월, 12개월)

구글 유튜브가 국내 앱 이용자 수 1위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만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료가 대폭 인상되었고, 이로 인해 독과점 논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더욱이 유튜브는 국내 망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으며 정부의 제재를 피할 수 있어서 해외 빅테크가 국내 시장을 잠식하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그 역풍은 소비자들이 맡고 있는데요, 오늘은 유튜브 프리미엄 할인 카드와 할인카드 없이 싸게 사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튜브 프리미엄 할인 카드없이 싸게하는법

유튜브 프리미엄 할인

유튜브 프리미엄 할인 카드를 이용해도 연회비와 실적조건은 필수인데요, 또한 싸게 한다고해도 월 5천원 이상의 금액으로 이용해야합니다.

요즘에는 계정정지 이슈도 있고 우회해서 결제하시기보다는 판다튜브를 많이 이용하시더라구요. 이용자도 많고 구독료도 저렴하니 한번 구독해보세요.

판다튜브를 이용하면 월 3,600원의 금액으로 유튜브 프리미엄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위험하게 정지당하지 마시고 요즘 많이 사용하는 OTT 공유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여 저도 얼마전에 가입해봤는데 원래 가격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이고 이용자도 많아서 좋더라구요

판다튜브

유튜브 프리미엄 할인 카드

유튜브 프리미언은 할인카드 보다도 다양한 요금제를 결합하여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1. 우주패스

유튜브 프리미엄 할인 5

‘우주패스 with YouTube Premium’은 월 9900원에 유튜브 프리미엄을 제공하는 우주 상품입니다. 이 상품은 선택적으로 추가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혜택으로는 카카오웹툰 및 카카오페이지 캐시, 배스킨라빈스 교환권, 메가커피 커피 교환권, 롯데시네마 영화 관람권 및 매점 할인권 등이 제공됩니다. 추가 요금 5000원을 지불하면 웨이브 콘텐츠 팩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무료 추가혜택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이 상품은 이미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료보다 33% 저렴하며 약정이나 제약도 없기 때문에 사실상 무조건 이득인 상품입니다.

2. LG 유독 Pick

유튜브 프리미엄 할인 3

‘유독 Pick’ 프로모션은 월 9900원에 사용자가 선택한 구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모션입니다.

사용자는 ‘유튜브 프리미엄’과 ‘디즈니+’ 중 한 가지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상품을 선택한 뒤, 다양한 추가 혜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추가 혜택으로는 배스킨라빈스 할인 쿠폰, 리디셀렉트, 파리바게뜨 할인 쿠폰, 올리브영 기프트카드, GS25 편의점 한끼, 스노우 VIP 구독권, GS25 편의점 카페 할인 등이 제공됩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 프리미엄과 리디셀렉트를 선택한 경우, 기존 구독료 1만5350원에서 36% 할인된 가격으로 월 9900원에 상품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튜브 프리미엄과 배스킨라빈스 파인트 할인 쿠폰을 선택한 경우에도 기존 구독료 1만4450원에서 31% 할인된 가격으로 월 9900원에 상품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KT 유튜브 프리미엄 초이스

유튜브 프리미엄 할인 1

KT는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구독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은 월 9450원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넷플릭스(스탠다드)와 디즈니플러스(스탠다드) 구독도 각각 1000원 저렴한 1만2500원과 8900원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티빙 베이직 요금도 KT에서 가입하면 월 9500원에서 월 8500원으로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달 말까지는 가입자를 대상으로 스타벅스 쿠폰 등을 증정하는 이벤트도 진행 중입니다.


오늘은 유튜브 프리미엄 할인 받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유튜브 인상이 짙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대거 이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인상은 초기 가입자들에게는 71.5%의 상승률로 적용되며, 이용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편, 인도와 튀르키에서는 가족 요금제를 통해 인당 3000~5000원으로 유튜브 프리미엄을 이용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1만원을 훌쩍 넘는 요금을 내야 합니다.

이에 더해 구글은 국내 통신망 트래픽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망 이용료를 지불하지 않는 상황에서 구독료를 대폭 올리는 것은 독과점에 의한 시장지배력 남용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