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번호 과태료 조회 5분만에 미납 확인·납부 방법

오늘은 차량번호 과태료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최근에 과태료를 내야해서 쓴 맘으로 과태료를 조회해봤는데요, 방법이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따라서 과태료를 조회하고 싶다면 이파인과 경찰 민원 센터를 통해서 확인해보도록 하세요.

과태료를 물게 되는 상황

교통법규 위반 시 부과되는 과태료와 범칙금은 위반 행위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아래는 주요 교통법규 위반 사례와 이에 따른 과태료, 범칙금, 벌점에 대한 정리입니다.

위반 행위과태료 (승용차 기준)범칙금 (승용차 기준)벌점
신호위반7만 원6만 원15점
속도위반
– 20km/h 초과 이하4만 원3만 원없음
– 20km/h 초과 ~ 40km/h7만 원6만 원15점
– 40km/h 초과 ~ 60km/h10만 원9만 원30점
– 60km/h 초과13만 원12만 원60점
주정차 위반4만 원4만 원없음
안전벨트 미착용3만 원3만 원없음
음주운전
– 0.03% ~ 0.08% 미만500만 원 이하면허 정지 100일
– 0.08% ~ 0.2% 미만500만 원 이상 1,000만 원 이하면허 취소 1년
– 0.2% 이상1,0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면허 취소 2년
보행자 보호 의무 위반7만 원6만 원10점

위 내용은 일반적인 기준이며, 위반 상황이나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과태료 조회를 하면 내가 무엇을 위반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회사차, 남의차 과태료 조회 가능할까?

차량번호 과태료 조회 4

회사 차량이나 타인 명의의 차량에 대한 과태료 조회는 일반적으로 제한됩니다.

하지만 차량번호와 주민등록 번호를 알고 있다면 위택스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타인의 명의 차량을 조회하시려면 아래의 방법 중 위택스만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차량번호 과태료 조회 방법

운전 중 교통법규를 위반하여 과태료가 부과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차량번호를 통해 과태료를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찰청 교통민원24 (이파인) 이용하기

차량번호 과태료 조회 1

이파인은 경찰청에서 운영하는 교통 민원 포털로, 과속, 신호위반 등 무인단속에 의한 과태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이용 방법:
    1. 이파인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교통범칙금·과태료’를 선택한 후 ‘미납내역조회’를 클릭합니다.
    3. 본인 인증을 통해 로그인합니다.
    4. ‘최근 무인단속내역’을 선택하여 과태료 내역을 확인합니다.

이파인에서는 과태료 조회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사실확인원 발급, 운전면허 관련 민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위택스(Wetax) 활용하기

이택스 차량번호 납부

위택스는 지방세 및 세외수입을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는 사이트로, 주정차 위반 과태료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용 방법:
    1. 위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납부하기’를 클릭한 후 ‘지방세외수입’을 선택합니다.
    3. ‘차량번호 조회’를 선택하고, 주민등록번호와 차량번호를 입력합니다.
    4. 조회된 과태료 내역을 확인합니다.

※ 서울 지역의 경우, 서울시 이택스(Seoul Tax)를 통해 주정차 위반 과태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과태료 납부 방법

과태료를 조회한 후에는 기한 내에 납부해야 가산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 납부 방법:
    • 이파인: 조회 후 신용카드나 가상계좌 이체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위택스: 조회 후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납부 가능합니다.
    • 정부24: 조회 후 바로 납부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합니다.

차량번호 과태료 조회는 간단한 절차로 5분 내에 미납 내역을 확인하고 즉시 납부까지 완료할 수 있습니다. 이파인, 위택스, 정부24와 같은 플랫폼을 활용하면 빠르고 효율적인 조회 및 납부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