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한국도로공사에서 미납 통행료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 역시 잔액부족으로 돈을 못 내고 내려간 적이 있는데요, 빠르게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금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서 한국도로공사 미납 통행료 조회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납 통행료 조회 전 주의사항
- 미납통행료는 미납발생일부터 최대 3~4일 이후부터 조회 및 납부 가능합니다.
(당일 발생한 미납통행료 즉시 조회 및 납부는 가까운 영업소 및 콜센터에서 확인 바랍니다.) - 민자노선에서 발생한 미납통행료가 조회되지 않을 시 해당 민자사 영업소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미납통행료 납부 수단은 후불 하이패스 카드, 계좌이체, 신용카드, 가상계좌,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가 가능합니다.
- 홈페이지에서는 선불 하이패스를 이용한 납부가 불가하오니 가까운 영업소를 방문하여 주십시요.
- 계좌이체, 신용카드, 가상계좌,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납부는 개인정보를 보관하지 않으므로 전자계산서를 발행하지 않습니다.
- 신용카드, 계좌이체로 미납 납부 시 최소 300원이상 가능합니다.
- 미납통행료 납부가능 구간은 후불 하이패스 카드, 계좌이체, 신용카드, 가상계좌별로 상이하며, “납부수단별 미납통행료 납부가능구간”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도로공사 미납 통행료 조회
1. 한국도로공사 비회원 미납통행료 조회 홈페이지에 접속해줍니다.

2. 차량번호를 입력한 후 조회버튼을 눌러줍니다.

3. 미납통행료가 있다면 아래와 같이 미납건수가 출력됩니다. 본인인증 버튼을 눌러주세요.

4. 아이핀인증, 휴대폰인증 중 선택하여 인증을 진행해줍니다.

5. 납부 수단 선택이 나오게 됩니다. 자신이 원하는 수단을 선택해주세요.

6. 납부하실 건을 체크한 후 납부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7. 한국도로공사 미납 통행료 요금 납부가 완료되었습니다.

미납 고지서 받는 법

한국도로공사의 ‘미납 고지서 알림 서비스’를 신청하면 모바일로 간편하게 납부가 가능합니다. 카카오톡 알림톡이오면 납부를 진행하면 되는 시스템으로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아래의 글을 읽으면 다양한 도움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고속도로 통행료 미납 요금 대처 방법 4가지
- 톨게이트 미납조회 및 하이패스 요금 납부방법
- 하이패스 영수증 출력 방법 및 조회 A to Z!
- 하이패스 사용내역 조회 방법선불, 후불 2가지
-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 및 납부 방법 4가지
결론
오늘은 한국도로공사 미납 통행료 조회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1년 내 20회 이상 미납이 발생한 경우 부가통행료가 즉시 부과됩니다. 부가통행료는 미납통행료의 10배 금액이며,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통행료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
하이패스 차로 통과 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일단 정상적으로 운행한 후 안전한 장소에서 해당 톨게이트나 한국도로공사 콜센터(1588-2504)로 문의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