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말에 “세상에 공짜란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저 역시 싸게 나온 콘서트 티켓 혹은 고가의 핸드폰을 구매하려고 하다가 사기를 당한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사기번호 조회를 통해 미리 예방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그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에서 사기번호 조회 3단계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기번호 조회

중고거래는 잘 하면 저렴한 가격에 좋은 물건을 가져올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인증되지 않은 개인과 거래하기 때문에 그만큼 다양한 사건이 발생하는데요, 돈을 받고 잠적하거나 물건이 다른 경우가 가장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사기번호 조회를 진행이 가능한 사이트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저는 아래의 기준으로 사이트를 찾아다녔고 가장 좋은 사이트를 발견했습니다.
1. 정보가 계속해서 최신 업데이트가 되는가??
2. 정보의 양이 많은가??
3.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가??
※ 장담컨대, 아래의 사이트 3곳만 이용해도 사기 당하지 않을 확률이 90% 이상 증가합니다.
더치트

더치트는 2006년부터 범죄피해 방지를 위해 무료로 운영되는 사이트로 하루에도 3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방문하고 있습니다.
정보 업데이트가 가장 빠르고 해당 정보를 다양한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믿고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특히 토스에서 돈을 보내면 자동으로 더치트에 조회해 해당 계좌가 사기 피해 계좌인지 조회 해주기 때문에 돈을 보낼 때는 토스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이버 안전 지킴이

사이버 안전 지킴이에서는 인터넷사기에 이용된 것으로 의심되는 전화·계좌번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최근 3개월간 3회 이상 신고된 번호입니다.)
정부에서 운영하여 믿음직한 정보들로 구성되어있지만, 필터링 기준이 높기 때문에 검색이 잘 안될 수도 있고 정보의 양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중고나라

중고나라 사기조회 서비스는 하루 조회수 8천명, 누적 조회수 280만명, 누적 사기 예방수 22.4만 건을 자랑하는 사이트입니다.
휴대폰번호, 계좌번호, 메신저 ID, 이메일 등 다양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어서 꼼꼼한 사람들에겐 꼭 필요한 사이트입니다.
다만 최근 3개월 내 중고나라,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에 등록된 사기 피해사례만 조회하기 때문에 과거의 사례까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사기 확률이 높은 거래 행위
- 타지역 대리 인증, 대리 판매, 대리 구매를 해주는 행위
- 당근 채팅이 아닌 문자로 계좌번호를 보낸 후 입금을 유도하는 행위
- 선입금을 유도한 후, 물품을 보내지 않는 행위
- 카카오톡 아이디, 오픈채팅방 등 외부로 유도하여 개인정보와 인증번호를 요구하는 행위
- 가짜 안전결제 페이지 링크를 보내는 행위
- 계좌번호를 끊어 쓰며 선입금을 요구하는 행위
- 물품을 먼저 받고 금액을 지불하지 않는 행위
- 가짜 물품을 진품으로 속여서 판매하는 행위
- 명의가 다른 제삼자에게 입금액보다 많은 금액 입금을 유도하여 현금으로 환불받는 행위
- 선입금 후 상품권을 대신 구매해달라고 하는 행위
- 바코드를 노출한 상품권 사진을 올리는 행위
- 판매자와 판매자의 계좌 명의 혹은 구매자와 입금자의 계좌 명의가 다른 경우
사기 안 당하는 팁
가장 조심해야하는 것은 계좌번호를 1~2자리 속여서 자신이 정상적인 계좌번호임을 확인시킨 뒤 다른 계좌번호를 알려주는 사기를 조심해야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계좌번호가 정상거래 가능한 상태인지 수시로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 다음의 사기 수법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1. 사기용의자가 1~2자리 정도가 유효하지 않은 계좌번호를 의도적으로 알려주면, 송금자는 해당 계좌번호에 대해 등록된 피해사례가 없음을 확인합니다.
2. 송금자가 입금 시도 시 해당 계좌번호가 잘못된 계좌임을 확인하고, 사기용의자에게 정확한 계좌번호 안내를 요청합니다.
3. 사기용의자는 사기계좌를 알려주어 송금자의 입금을 유도합니다.
4. 송금자는 입금 후 본인이 사기계좌로 입금한 사실을 알게됩니다.
결론
이러한 조심을 하더라도 본인이 ‘최초 피해자’가 되는 경우에는 막을 방법이 없기 때문에 고가의 물품을 거래할 때는 더욱 더 유의해야합니다. 예를 들면 고가의 물품을 받을 때 상대방에게 다음과 같은 요구를 할 수 있습니다.
- 민증 혹은 청소년증을 보여달라고 요구한다.(계좌번호의 예금주와 일치하는지 확인)
- 물건과 함께 특정 행동 사진을 보내 인증해달라고한다. (ex.콘서트 티켓과 브이 사진을 보여주세요)
- 돈을 한번에 입금하는 것이 아니라 물건을 받고 난 뒤 나머지 금액을 입금한다.
- 계좌이체 외의 다른 결제 방법을 유도하는 사람은 바로 신고한다.
- 당근마켓을 사용한다면 당근페이를 통해 거래의 안정을 보장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