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해가 되면 달라지는 것들이 많은데요. 직장인이라면 내 급여와 직결된 ‘4대보험요율’을 신경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근로자뿐만 아니라, 사업을 운영하는 사업주분들에게 민감한 사항이기도 한데요. ‘2024년 4대보험요율’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4대보험이란?
4대보험이란, 정부가 관리하는 ‘의무가입 보험’으로 ‘국가보험’이라고도 불리는데요. 사회적 위험을 대비하여 보험의 방식으로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이 4대보험에 해당됩니다.
- 건강보험: 국민들이 질병이나 부상 등의 의료비를 부담하지 않고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초적인 보호를 제공합니다.
- 연금보험: 국민들이 노후에 경제적인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근로 생활을 마친 후에도 일정한 수입을 확보할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을 줄여줍니다.
- 고용보험: 근로자들이 일자리 상실 시 일정 기간 동안 일정한 수입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는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사회적 안정을 위한 중요한 보호장치입니다.
- 산재보험: 근로자들이 업무상의 사고로 인해 상해를 입었을 때, 치료비와 소득 손실을 보상해 줍니다.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근로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4대보험요율 : 국민연금
2024년 국민연금요율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은 국민들의 노후를 책임지는 연금으로, 4대보험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요.
연금보험료 9%
근로자 4.5%
사업주 4.5%
2024년 국민연금요율은 23년과 동일하게 9%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4.5%씩 부담하게 됩니다. 다만, 노동인구 감소 등의 이유로 13%로 인상논의가 진행중이라고 하여, 향후 높아질 가능성이 있어보이네요.. 일단 2024년은 동결 땅땅입니다!!
4대보험요율 : 건강보험
다음으로 ‘2024년 건강보험요율’인데요. 건강보험은, 누구나 치료받을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사회보장제도로, 질병이나 부상에 따른 진료비로 인해 가계의 부담을 막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건강보험료 7.09%
근로자 3.545%
사업주 3.545%
건강보험료도 국민연금과 마찬가지로 근로자부담이 50%이며, 2024년에 동결인데요. 이는 2017년 이후 7년 만으로, 건강보험의 재정여건과 최근 물가, 금리 등으로 국민경제 여건을 고려한 결과라고 합니다. 2024년 건강보험요율도 동결이네요!
4대보험요율 : 고용보험
다음으로 고용보험요율입니다. 고용보험은, 구직자에 대한 개발, 취업 등 실업예방을 위해 실시하는 보험인데요.
고용보험료 1.8%
근로자 0.9%
사업주 0.9%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0.9%씩을 부담하게 됩니다. 고용보험요율도 마찬가지로 동결이네요!
4대보험요율 : 산재보험
산재보험은, 산재근로자와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의무보험제도로. 사업주가 100% 부담하게 되는데요. 산정범위는 0.7%~18.06% 입니다.
4대보험요율 : 장기요양
장기요양보험율
0.9082%
↓
0.9182%
(1.09%인상)
장기요양보험의 경우 아래 산정식으로 보험료가 계산되고 마찬가지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절반씩 부담하게 됩니다.
장기요양보험료 산정식 = 건강보험료 X 장기요양보험요율(0.9182%) /건강보험요율(7.09%)
4대보험 계산 방법
4대보험 정보연계센터에서 4대보험 모의 계산이 가능한데요. 4대보험 정보연계센터 사이트에서 보험료 계산기를 클릭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대보험 정보연계센터 사이트에서 보험료 계산기를 클릭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는 2023년 버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참고 부탁드립니다. 차후에 업데이트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
2024년 4대보험요율 정리
| 총 요율 | 근로자부담 | 사업자부담 |
국민연금 | 9% | 4.5% | 4.5% |
건강보험 | 7.09% | 3.545% | 3.545% |
장기요양보험 | 12.95% | (건보료의)12.95% | (건보료의)12.95% |
고용보험 | 1.8% | 0.9% | 0.9% |
산재보험 | 업종별요율 | – | 업종별요율 |
마지막으로 4대보험요율 총정리하면서 글 마치겠습니다. 직장인분들이라면 2024년 4대보험요율로 급여 미리 체크해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