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2023년 연봉 실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이 2023년에는 자신이 받게되는 실제 월급 및 연봉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아래의 글을 읽으면 정확하게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아래에서 2023년 연봉 실수령액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연봉 실수령액
사람들이 연봉 실수령액을 찾아보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모든 직장인들이 자신의 연봉에서 세금을 떼어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세전 연봉, 세후 연봉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한데요, 연봉에서 떼어가는 항목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세 이렇게 6가지 입니다.
국민연금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고용보험 | 소득세 | 지방세 |
4.50% | 3.545% | 12.81% | 0.9% | 간이세액 | 10%(소득세기준) |
연봉이 오른다고 하지만 위의 4대보험의 요율도 올라가는데요, 특히 2023년에는 4대보험요율 인상이 크다고해 많은 사람들이 걱정입니다. 아래 글에서 4대보험 요율에 대해서 알아보세요.
2023년 4대보험요율 << 글 읽어보기
아래에서 2023년 연봉 실수령액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연봉 실수령액 표
2023 연봉 실수령액표는 2022년도와 같이 4대보험 요율이 적용됩니다. 각종 세금을 제외하고, 실제 받게 되는 금액을 연봉실수령액이라고 합니다. 2023 연봉 실수령액표는 2022년도에서 4대보험 요율이 변경되어 적용됩니다. 아래 2022 연봉실수령액표로 한눈에 확인해주세요!
연봉 실수령액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월급x12를 하시면 실 연봉이 나오게 됩니다.
<연봉 2천만원 실수령액>
연봉(만원) | 월급 실 수령액 |
2100 | 1,570,025 |
2200 | 1,643,716 |
2300 | 1,717,387 |
2400 | 1,790,548 |
2500 | 1,863,218 |
2600 | 1,935,890 |
2700 | 2,008,199 |
2800 | 2,080,880 |
2900 | 2,151,702 |
<연봉 3천만원 실수령액>
연봉(만원) | 월급 실 수령액 |
3000 | 2,219,232 |
3100 | 2,287,193 |
3200 | 2,355,174 |
3300 | 2,422,194 |
3400 | 2,490,164 |
3500 | 2,558,136 |
3600 | 2,624,687 |
3700 | 2,692,667 |
3800 | 2,758,309 |
3900 | 2,823,058 |
<연봉 4천만원 실수령액>
연봉(만원) | 월급 실 수령액 |
4000 | 2,887,799 |
4100 | 2,952,540 |
4200 | 3,014,591 |
4300 | 3,079,332 |
4400 | 3,144,073 |
4500 | 3,208,813 |
4600 | 3,267,413 |
4700 | 3,331,165 |
4800 | 3,391,975 |
4900 | 3,455,736 |
<연봉 5천만원 실수령액>
연봉(만원) | 월급 실 수령액 |
5000 | 3,519,488 |
5100 | 3,583,237 |
5200 | 3,646,988 |
5300 | 3,710,739 |
5400 | 3,771,420 |
5500 | 3,831,820 |
5600 | 3,894,982 |
5700 | 3,958,141 |
5800 | 4,021,302 |
5900 | 4,084,464 |
<연봉 6천만원 실수령액>
연봉(만원) | 월급 실 수령액 |
6000 | 4,144,524 |
6100 | 4,207,685 |
6200 | 4,270,846 |
6300 | 4,334,006 |
6400 | 4,397,157 |
6500 | 4,460,318 |
6600 | 4,520,399 |
6700 | 4,583,559 |
6800 | 4,639,761 |
6900 | 4,695,520 |
<연봉 7천만원 실수령액>
연봉(만원) | 월급 실 수령액 |
7000 | 4,751,261 |
7100 | 4,779,513 |
7200 | 4,830,063 |
7300 | 4,885,594 |
7400 | 4,941,145 |
7500 | 4,996,685 |
7600 | 5,052,225 |
7700 | 5,107,777 |
7800 | 5,158,328 |
7900 | 5,213,858 |
<연봉 8천만원 실수령액>
연봉(만원) | 월급 실 수령액 |
8000 | 5,269,410 |
8100 | 5,324,949 |
8200 | 5,380,490 |
8300 | 5,436,041 |
8400 | 5,486,592 |
8500 | 5,542,123 |
8600 | 5,597,674 |
8700 | 5,653,214 |
8800 | 5,708,754 |
8900 | 5,764,306 |
<연봉 9천만원 실수령액>
연봉(만원) | 월급 실 수령액 |
9000 | 5,814,856 |
9100 | 5,870,387 |
9200 | 5,925,939 |
9300 | 5,981,478 |
9400 | 6,037,019 |
9500 | 6,092,570 |
9600 | 6,143,121 |
9700 | 6,198,651 |
9800 | 6,254,203 |
9900 | 6,309,742 |
<연봉 1억 실수령액>
연봉(만원) | 월급 실 수령액 |
10000 | 6,365,283 |
11000 | 6,904,102 |
12000 | 7,356,199 |
2023년 연봉 실수령액을 정리한 표를 살펴보시게 되면 2023년의 최저임급 9620원으로 계산시에 최소 연봉은 2500만원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월급을 208만 3333원을 받을시 실수령액은 186만 3219만원을 받게 됩니다.
아래에서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를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2023년의 최저임급 9620원으로 계산시에 최소 연봉은 2500만원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월급을 208만 3333원을 받을시 실수령액은 186만 3219만원을 받게 됩니다.
- 세전 연봉 3000만원 = 세후 월급 약 221만원
- 세전 연봉 4000만원 = 세후 월급 약 288만원
- 세전 연봉 5000만원 = 세후 월급 약 351만원
- 세전 연봉 6000만원 = 세후 월급 약 414만원
- 세전 연봉 7000만원 = 세후 월급 약 476만원
- 세전 연봉 8000만원 = 세후 월급 약 532만원
- 세전 연봉 9000만원 = 세후 월급 약 590만원
- 세전 연봉 1억원 = 세후 월급 약 649만원
다가오는 2023년도, 내가 실제 받게되는 월급액이 얼마인 지 궁금하셨던 분들! 오늘 알려드린 2023 연봉 실수령액표로 2023 세후 월급액을 미리 체크해두세요!
오늘은 연봉 실수령액을 알아보았습니다. 2023년 최저시급은 시급 9620원으로 결정이 되었는데요. 현재 22년의 최저시급인 9160원보다 460원이 더 오르게 되었습니다. 역대 최저임금 인상의 추이를 보게되면 작년의 경우가 5.05% 인상이였고 2023년 최저시급의 인상률은 올해에 비해 5%가 올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